돈의 속성 김승호
이번에는 정말 유명한 책을 리뷰해보려고 한다. 3년 연속 경제 분야 베스트셀러로 선정된 책, 최상위권 부자 김승호 대표님의 책이다.
매번 읽어야 겠다고 생각만 하고 못 읽고 있었는데, 이번 경제 습관 스터디를 기회로 읽게 되었다. 스터디 미션 중에서 책을 읽고 후기를 남기는 미션이 있는데, 선정 도서가 돈의 속성이다. 그래서 오늘은 블로그에 돈의 속성 김승호 저자님의 말씀 중 기억에 남는 구절을 기록해봤다.
경제 스터디, 혼자서 경제 공부하기 벅찬 사람은 주목하세요
그저 그런 평범한 직장인, 그게 바로 나다. 한 푼이라도 더 벌고 싶어서 경제 공부를 시작했다. 그런데 막상 혼자서 공부하려고 하면 잠이 온다...zZ 이게 어제까지의 내 모습이다. 내 모습을 보고
11111economy.tistory.com
빨리 부자가 되려는 욕심이 생기면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없다. 사기를 당하기 쉽고 이익이 많이 나오는 것에 쉽게 현혹되며 마음이 급해 리스크를 살피지 않고 감정에 따라 투자를 하게 된다.
→ 이 부분에서 나를 다시 돌아보게 된 것 같다. 솔직히 말하면, 나는 잘 되고 싶다는 욕심이 많다. 마음이 급하면 리스크를 제대로 살피지 않고 무작정 행동하는 편이다. 그리고 행동하고 나서 후회한다; 이 부분이 나의 단점이다.
빨리 부자가 되는 유일한 방법은 빨리 부자가 되지 않으려는 마음을 갖는 것이다. 자수성가의 길을 걷는 사람이라면 나이 40에 부자가 되는 것도 너무 빠르다. 20대나 30대에 빨리 부자가 된 젊은이들 중에 그 부를 평생 가져갈 수 있는 사람은 손에 꼽을 정도다.
→ SNS를 보면 20대, 30대의 젊은 나이에 부자가 된 사람들이 많다. 그런 사람들을 보다 보면 '나도 저 분들처럼 이른 나이에 잘 되고 싶다', '그런데 내가 과연 가능할까?' 등등 조급하고 불안한 마음이 든다. 이 책의 내용대로 조급한 마음은 내려 놓고, 부자가 되는 건 장기전이라고 생각하자. 바로 잘 하기는 어려우니, 충분히 마음의 여유를 두고 스스로 다독이자. 그러면 여유 있게 행동하고,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부동산에만 투자하면서 아파트, 땅, 사무실, 상업용 임대 건물에 각각 전재산을 투자해놓았다면 이건 분산투자라고 할 수 없다.
→ 나의 재무 계획에 대해 다시 생각해본 것 같다. 내 재무 계획은 부동산 + 예적금뿐이다. 예적금은 투자가 아니기 때문에 실제 투자 계획은 부동산 밖에 없다. 토지 투자, 아파트 투자를 동시에 하더라도 이는 분산 투자가 아니기에 리스크가 크다.
내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올바른 분산 투자를 해야 한다. 부동산 외에 어떤 투자를 해야 할지 고민하게 되었다. 원래 주식 투자도 소액으로 시도해본 적은 있는데 지금은 안 하고 있다. 이 글 쓰면서 계좌를 확인해봤는데 수익도 손해도 보지 않고 그냥 저냥한 수준을 유지하는 상태다...ㅋㅋ
부동산 투자는 하고 싶지만 주식 투자는 이상하게 손이 안 간다. 왜 그런지 깊게 생각해봤다. 나는 어릴 적 기억 때문에 나만의 것, 나만의 공간을 갖고 싶다는 갈증이 크다. 갈증으로 인해 내집마련이라는 꿈이 생겼다. 이러한 강력한 동기 때문에 부동산 투자에 끌렸다. 반면 주식은 싫지도 좋지도 않고 특별한 동기가 없다. 나름 공부하고 소액으로 시작하긴 했지만, 본격적으로 돈을 더 넣어서 투자를 하고 싶다는 생각이 별로 들지 않았다... 차트가 오르건 말건 아무 생각도 안 든다.
이 부분은 스스로 동기 부여가 부족하거나 배움이 많이 부족한 걸지도 모른다... 아니면 나와 잘 맞는 투자 방법을 아직 못 찾은 걸지도 모른다. 이런 저런 책을 읽으면서 많이 배운 후, 어떻게 분산 투자를 해야 할지 포트폴리오를 세워봐야 겠다...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을 부르는 작은 습관 실천하고 인생 역전? 가능. (1) | 2024.05.06 |
---|---|
부자는 아니어도 돈 걱정 없이 사는 법 vs 부자였는데 결국 파산하는 법 (0) | 2022.11.02 |
청춘의 돈공부, 25살에 1억 모은 독한 비결 공개 (0) | 2022.11.02 |
빚 때문에 고민입니다, 뼈 때리는 매운맛 책 (0) | 2022.10.29 |
인생책, 나의 정체성을 만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책 (0) | 2022.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