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주식 투자

바텀업 방식, 중학생도 이해 가능한 글 - 베어유 빡공단

만두국 2022. 6. 14. 21:13
728x90
반응형

 주식을 분석하는 방법은 기본적 분석, 기술적 분석으로 나누어진다. 지난 글에서 기본적 분석 방법을 양적 분석, 질적 분석 방법으로 나누었다. 그 외에 또 다른 분류 방법이 있는데, 바로 탑다운 방식, 바텀업 방식이다. 오늘은 이 둘 중에 후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바텀업 방식


 

 바텀(Bottom)이란 '맨 아래', 업은 '위'라는 뜻이다. 바텀 업이란 맨 아래에서 위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다. 주식 투자의 관점에서 바텀업을 바라보자. 기업 < 산업 < 경제 상황, 오른쪽으로 갈수록 상위 개념이 된다. 즉 주식 투자에서 기업(맨 아래)을 먼저 분석한 후, 그다음 산업, 경제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방식이다.

 

 바텀업 방식에서 가장 중요하게 보는 요소는 무엇일까? 바로 '기업'이다. 맨 먼저 기업을 분석한 후, 산업, 경제 상황 순으로 분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텀업 방식은 경제 상황이 아닌 기업의 실적, 가치만을 보고 분석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분석한 기업은 장단점이 명확하다. 장점 먼저 알아보자. 이 방식으로 분석했을 때 기업의 실적, 가치가 높은 A 기업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A 기업은 가치가 높으니 불황 속에서도 좋은 실적을 내며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좀 더 쉬운 예를 들어보자. 학교 시험이 어렵게 나오면(불황) 다른 애들 50점, 70점 받는다. 하지만 A학생은 90점을 받는다. 즉 A학생은 A기업처럼 어려운 상황에서도 실력을 발휘한다. 그래서 A기업은 경제 상황이 어려울 때 투자하기에 좋은 기업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단점도 있다. 호황, 즉 상승장이 찾아오면 A기업은 오히려 시장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할 수도 있다. 생각해보면 간단하다. 호황에는 많은 기업이 돈을 잘 번다. 그러면 A기업이 돈을 잘 벌어도 경제 상황이 어려울 때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시장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할 수 있다.

 

 다시 예시를 들어보자. 학교에서 시험이 쉽게 나오면(호황) 어떨까? A학생은 열심히 공부해서 80점을 받아도 다른 애들도 80, 90점을 받을 확률이 높다. 시험이 워낙 쉬우면 이런 일이 생긴다. 그래서 이때는 시험을 잘봐도 성적 상승이 크게 눈에 띄지 않는다. 기업도 똑같다. 상승장에서는 실력자가 묻히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이와 반대 개념인 탑다운 방식에 대해서도 공부한 후, 두 분석 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 어떤 경제 상황에서든 살아남아야 하기 때문이다.

 


 

베어유에서 주식 투자 비법 강의를 들은 후 강의 내용과 저의 생각을 함께 정리했습니다. 

#베어유 #빡공단 #자기계발 #공부 #챌린지 #학습 #스터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양적 분석에 대해 알아보자

코스닥 코스피 차이? 비슷해 보이지만, 완전히 다르다

흑자도산, 잘나가는 기업이 하루아침에 망하는 이유

시가총액 뜻? 딱 '이것'만 기억하면 10분 만에 이해 가능

 

[주식 투자 글 모아보기]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글 목록

만두국의 돈 복사기 만들기 프로젝트 저축 / 투자 / 절약

11111economy.tistory.com

728x90
반응형